유클리드 호제법3 유클리드 호제법(Euclidean algorithm) 유클리드 호제법 (Euclidean algorithm) 이번에는 유클리드 호제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유클리드 호제법이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유클리드 호제법(Euclidean algorithm) 또는 유클리드 알고리즘은 두 양의 정수, 혹은 두 다항식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알고리즘을 공부할 때, 최대공약수(GCD, Greatest Common Divisor)와 최소공배수(LCM, Least Common Multiple)을 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식 입니다. 원리이름은 거창해보이고 복잡할 것 같지만, 그 원리를 보면 그다지 복잡하지 않습니다. "두 수의 최대공약수는,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나눈 나머지와 작은 수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라는 원리로 접근하여 값을 도출하는 알.. 2025. 4. 13. [프로그래머스] - N개의 최소공배수(C++) N개의 최소공배수 문제 설명두 수의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란 입력된 두 수의 배수 중 공통이 되는 가장 작은 숫자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와 7의 최소공배수는 14가 됩니다. 정의를 확장해서, n개의 수의 최소공배수는 n 개의 수들의 배수 중 공통이 되는 가장 작은 숫자가 됩니다. n개의 숫자를 담은 배열 arr이 입력되었을 때 이 수들의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arr은 길이 1이상, 15이하인 배열입니다.arr의 원소는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arrresult[2, 6, 8, 14]168[1, 2, 3]6 시작 코드#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solution(vec.. 2024. 12. 8. [자료구조 2장] - 프로그래밍 기초(2) 프로그래밍 기초(2) 함수와 재귀호출 C프로그래밍은 함수들의 모임과 활용으로 구성 표준 입출력 함수 : printf / scanf => 표준 라이브러리에 작성되어 있는 함수 활용 라이브러리 사용 -> 함수의 정의를 포함하는 헤더파일을 include 시켜야함 개념 - 함수의 원형 - 함수의 정의 - 매개변수 - 값에 의한 호출 함수의 원형 : 함수 반환값의 형(type)과 함수이름(function_name), 각 매개변수의 형과 이름을 포함 type function_name(type1 parameter1, type2 parameter2, .... typeN parameterN) 재귀함수(recursive function) int my_pow(int x, int y); void main() { int k; .. 2023. 12.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