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화5 게임개발 중급(102) - Monster Killer(64) Monster Killer오늘도 저번에 이어서 게임 플레이에 대한 변경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최적화이번에는 최적화와 관련된 변경점 입니다. 기존에 4가지 모드를 테스트 플레이 하면서 킬러모드에서만 이상하게 툭툭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뭐가 문제인지 다양한 방면으로 살펴본 결과, 킬러모드에서는 맵 디자인을 터레인을 통해 만들었는데 터레인에서 꾸미는 역할을 하는 나무가 많은 부하를 잡아먹고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큰 변화를 주지 않고 해결하기 위해 나무의 개수를 줄이고, 배치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시도를 했지만, 온전히 해결되지 않을 뿐더러 변경했을 때, 또 다른 문제가 파생되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해결을 해야 했습니다. 킬러모드 맵 변경 이전에 보여드렸던 이 모드가 바로 킬러모드입니다.. 2024. 11. 8. 게임개발 중급(97) - Monster Killer(59) Monster Killer 최적화이번에는 저번에 말씀드린대로 최적화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최적화를 하는 방법은 너무나도 방대해서 한가지만 한다고 끝나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저도 여러차례를 거쳐 최적화를 진행할 예정이니 감안하고 봐주시길 바랍니다. 텍스쳐 최적화일단 유니티에서 가볍고 빠르게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는 방법 중에 가장 유용한 것은 텍스쳐 최적화입니다. 가장 먼저 게임을 만들고 빌드를 하게 되면, 위 이미지에서 Open Editor Log를 클릭하여 메모장으로 빌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걸 확인하는 이유는 빌드 리포트를 통해 용량을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Build Report를 찾으면 아래에 각각의 항목이 얼마나 차지하는지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미 1차.. 2024. 9. 21. 게임개발 중급(95) - Monster Killer(57) Monster Killer 데이터 베이스 사용 및 연결이제 기존에 PlayerPrefs를 통해 게임 내에서만 관리하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하도록 바꾸겠습니다.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는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GameManager가장 먼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을 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에 플레이어의 데이터를 관리, 사용하던 GameManager를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GameManager는 싱글톤 인스턴스로 게임에서의 플레이어의 모든 데이터를 관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기능도 일부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데이터와 관련 없는 함수가 작성되어 있다면 다른 곳으로 옮겨주고, 필요없는 내용을 걷어내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더 많은 데이터가 존재하지만, 일단 지금은 데이.. 2024. 9. 5. 게임개발 중급(79) - Monster Killer(41) Monster Killer 이전에는 타이머UI를 만들고, 시간제한을 주는 타이머를 Killer Mode에서 사용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오늘은 여태 만들었던 게임을 실제로 빌드하는 과정 및 일부 필요한 최적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빌드하기 빌드하는 방법은 사용하는 기기와 소프트웨어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뉘는데, 이전에 이것에 대해서는 이미 다뤘었습니다. 제가 만들려고 하는 것은 안드로이드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므로, 안드로이드로 빌드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빌드를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상단에 File -> Build Settings에 들어가 빌드하고 싶은 모든 씬을 Scene In Build에 원하는 순서대로 넣어줍니다. 그리고 하단에 Platform칸에서 안드로이드를 선택해 Switch Pla.. 2023. 8. 25. 게임개발 중급(9) - 2D 플랫포머 게임 만들기(4) 2D 플랫포머 게임 만들기(4) 이전 시간에 플레이어 움직임과 코인을 먹으면 점수가 올라가는 단계까지 진행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스크립트 작성할 때, 최적화 혹은 더 간편하게 코드를 짜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사실 최적화 같은 기술은 한번 배운다고 하루아침에 잘하게 되는것은 아닙니다. 해당 코드와 게임의 구조를 생각하고, 어울리도록 만들 줄 아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저도 게임 프로그래밍을 배우면서 작성하는 사람인지라 완벽하게 최적화하거나 간결한 코드를 만들 순 없습니다. 사람마다 코드를 짜는 방식도 다르고, 스타일도 다르기 때문에 항상 더 좋은 코드를 찾아서 나아가는 것이 최적화의 길입니다. 추후에 프로젝트가 커지는 것까지 고려한다면, 구조를 상당히 잘 짜야하지만, 일단 저는 간단한 예제로 .. 2023. 4. 28. 이전 1 다음